목록
음악사
김미옥: 작은 학문, 귀도 다렛조||미크로로구스 [Micrologus, Guido d'Arezzo]
6,125회
김미옥
저자: 김미옥
등록일자: 2006-11-06

김미옥: 작은 학문, 귀도 다렛조||미크로로구스 [Micrologus, Guido d'Arezzo]

저자 귀도 다렛조(Guido d'Arezzo, Pomposa, 이태리, 991/992년경〜1033년 이후)는 11세기의 가장 유명한 성가지도자․학자였다. 그는 성가 지도에 필요한 만큼의 이론에 한정된 저술작업을 했다. 그의 실제적 경향은 “보에티우스의 책은 가수들에게는 필요가 없고 오직 철학자들에게나 유용한 것이다”, 또는 “음악은 음의 움직임이다”라는 말 등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그의 업적은 실제적이다. 헥사코드를 창안했고, 4선보를 발전시킨 인물로도 알려져 왔으며, 선율 만들어 부르기에 대한 설명도 처음으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교회선법이론에 관해서도 매우 진보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있다(이론적으로는 뒤떨어진 면도 보인다). 기계적인 병행 오르가눔에서 벗어난 자유 오르가눔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언급한다. 그의 저서들은 몇 세기 동안 어떤 이론서보다도 널리 알려졌고 권위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두 저작인『작은 학문』과『성악 초보자를 위한 서신』이외에도,『또 다른 방식의 규칙』(라.Aliae regulae)과『리듬의 규칙』(라.Regulae rhythmicae: 안티포나 모음집의 서문)이란 제목의 짧은 저서가 현존한다. 이것들의 특징은 앞의 두 저서에서는 제시 안된 기보법을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보표기보법의 원초적 단계로서, 문자(C, F)가 표기된 채색선(음자리표의 기원이 됨)이 1〜2개 그려진 악보가 설명되어 있다(C는 노란색, F는 빨간색).

그의 『작은 학문』(라.Micrologus)은 성가를 실제적으로 지도하는데 사용되기 위한 것이었다. 2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성과 다성음악을 모두 다루고 있고, 특히 오르가눔이 처음으로 실제 음악에 가깝게 취급되어 있다. 교회선법에 대한 설명도 단순하다(여전히 테트라코드로 설명).

(1) 음정: 6개(반음〜5도까지; 증4도 제외)로 분류. 그러나 설명에는 장단6도와 옥타브도 포함시킨다. 종지(occursus) 부분에서의 음정에 대해서는, 유니즌의 종지 앞에 온음이나 장3도를 놓는다(단3도는 허용 안됨!: 중세 후기로 가면서는 유니즌의 앞에 단3도가 가장 좋은 음정으로 논급된다). 

(2)음역: 전통적 음역이 확대되어 있다. 즉, Γ․A․B……d11까지의 21음: b음의 경우에는 b♭과 b♮음으로, b1음은 b♭1과 b♮1음으로 각각 나란히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 음역 안에서의 음체계는 두 옥타브와 하나의 테트라코드로 나누어져 있다(헥사코드와 관련된 설명은 바로 아래의 ⑥ 참조). 

<이미지1>
(3) 교회선법. ①선법의 유형: 정격과 변격의 구별 없이 제1(protus), 제2(deuterus), 제3(tritus), 제4(tetrardus) 선법으로만 부른다. 그리고 테트라코드로 설명하고 있어, 여전히 제4 선법의 변격(히포믹소리디아)과 제1 선법의 정격(도리아) 사이의 차이점이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그러나 이미 9세기에 언급된 바 있다). 성가의 선법을 결정하는 조건으로도 종지음과 그 앞의 음들 -특히 시작음과 각 악구의 첫 음과 끝 음-과의 관계만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자리옮김된 선법을 의미하는 용어(‘affinalis’: 이후 다른 이론가들에 의해 쓰이는 ‘confinalis’도 같은 뜻이다)는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 즉, a음에서 시작하는 테트라코드도 d음에서 시작하는 테트라코드와 음계 상의 음정 관계가 같다는 점에서 동일한 선법으로 인정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개념은 이미 훅크발드의 저서나 『스콜리카 엔키리아디스』에서 나타난 바 있다: 그러나 귀도는 제4선법의 자리옮김에 대해서는 아직 언급하고 있지 않다. 
②종지음과 시작음: “선법이란 모든 성가선율을 그 종지음으로 구별할 수 있는 체계이다”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귀도는 매우 현실적인 지적을 첨가한다. 그는 선율의 종지음이 허용되는 범위에서 선법의 종지음 밑이나 위에 위치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선율의 선법을 알아내는 일이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사실 이후에는 이론가들에 의해 선법 이론에 맞도록 -특히 선율과 선법의 종지음이 일치하도록- 성가 선율이 수정되는 경우도 적지 않게 생기게 된다. 
③낭송음: 선법과 관련하여 낭송음에 대한 설명이 처음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논급은 12세기 초에야 나타난다. 여기서는 성가선율의 시작음으로 사용가능한 음들을 낭송음 아래의 음들로 제한하는 정도에 국한되어 있다. 
④선율의 음역: 『음악의 대화』(Dalogus de musica)와 동일하다. 즉, 정격의 경우, 종지음으로부터 한 음 이상 하행하지 않고, 9〜10도 위의 음정까지 상행이 가능하다. 변격의 경우는 종지음을 중심으로 5도 상행 또는 하행하며, 상행의 경우에 한하여 6〜7도까지 가능하다.
⑤에토스: 선법의 표현성 또는 시적 기능으로서의 에토스는 고대부터 언급되어 온 것인데, 9세기 이후의 중세 이론가들 가운데는 귀도가 처음으로 언급한다(전체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는 않다). 귀도는 노래와 선법들을 다음과 같이 연관 시킨다.
-3번째 선법(프리지아)으로 된 노래에는 벌어진 도약이 있어 충동적이다
-6번째 선법(히포리디아)의 선율에는 부드러운 도약이 있어 관능적이다
-7번째 선법의 선율은 잦은 굴곡 때문에 수다스럽다. 
-8번째 선법의 노래는 정적인 특징으로 인해 기분이 편안하다.
이런 언급을 통해 당시의 노래들이 선법에 따라 전형적인 선율적 특징도 갖고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⑥선법의 음도: 귀도가 논한 ‘선법의 음도’(Modes of the Degrees)는 이론서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그 내용은, 우선 정격선법의 경우, 세부적인 종류에 상관없이 전형적으로 쓰이는 음도는 c음 〜 a음이며, 변격선법의 경우는 역시 그 종류에 상관없이 g음 〜 d음이라는 것이다. 귀도는 실제적인 목적에서 헥사코드를 창안했지만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지는 않았는데, 선법의 음도에 관한 논의를 이후 다른 이론가들에 의해 체계화되는 헥사코드 이론의 토대로 보는 학자들도 있다. 즉, 자연적 헥사코드와 각진 헥사코드를 선법과 이론적으로 연결시킨 시도라는 것이다.  

(4) 오르가눔: 그는 병행오르가눔에서 병행5도가 거칠다는 이유로 병행 4도를 더 선호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더 새롭고 ‘부드러운’ 자유 오르가눔에 대해서도 설명 한다: 완전4도가 가장 근본적인 음정이나, 2도와 장단3도도 허용되는 것. 여기서는 성부의 교차도 허용되는데, 성가선율이 오르가눔 성부의 위에 위치했던 형태에서 자유로워지기 시작함도 암시한다. 왜냐하면 자유 오르가눔 형태와 그 이후의 실제 다성음악에서는 항상 성가선율이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5) 선율 만들기: 시(詩) 짓는 방식에 견주어 설명되어 있다. 그는 수없이 많은 단어가 5개의 모음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수많은 선율은 6개의 음정(반음〜5도까지; 증4도 제외)에서 비롯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선율 만들기는 이 음정들을 사용하며 상행 또는 하행하면 된다는 것이다(중간에 음의 반복도 허용된다). 최초로 작곡에 대한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6) 리듬: 확실히 알 수 없는 내용이 많으나 핵심은 단위가 같거나 단순한 비율로 움직이라는 것이다.

(7) 기보법: 『음악의 대화』(Dalogus de musica)에서의 문자기보법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상행으로 음역이 확대됨(a1에서 d11로 확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