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5 |
자리바꿈/전위(轉位, 도.Umkehrung, 영.inversion)음들이나 성부진행의 관계를 상하로 바꾸어 놓는 것. 음정의 자리바꿈과 화음의 자리바꿈, 선율의 자리바꿈이 있다. 음정의 자리바꿈은 상하의 두 음 중 한 음이 옥타브 위나 아래로 옮겨진 것을 말한…
|
1384 |
자비한 주께서 부르시네(새 531장, 통일 321장)
Jesus is tenderly calling thee home
작사 : 화니 제인 크로스비(Fanny Jane Crosby, 1820~1915)
작곡 : 조지 콜즈 스테빈스(George Coles Steb…
|
1383 |
자연수 배가 아닌 부분음(영.non-harmonic partial)기음의 2배, 3배 등 자연수 배(倍)가 되는 음을 하모닉스라고 한다. “하모닉”이라는 용어는 문자 그대로 기음과 잘 “어울려야” 하며 여기서 어울림에 대한 수학적 정의는 바로 자연수 배의 관계이다. 그…
|
1382 |
자연음호른(영. natural horn, 도. Naturhorn)구멍이나 밸브가 없는 단순한 형태의 호른(나팔)이다. 자연음호른은 관의 길이에 해당되는 바탕음과 함께 배음에 있는 음들을 소리낸다. (예를 들어 도(바탕음) -솔 -도 -미 - 솔 -시b). 배음들은 입술…
|
1381 |
자연주파수(영. natural frequency)리드(reed)란 한 끝이 고정된 유연한 재질의 가늘고 긴 조각으로 이를 튕겨보면 리드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자연주파수로 진동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리드의 자연주파수는 리드가 가지고 있는 질량과 탄성에 따라 각각…
|
1380 |
저자: 홍정수등록일자: 2007-03-03자율음악 [Autonome Musik, autonomous music, musica autonoma]이 용어는 ‘음악외적인 목적에 묶이지 않은, 오로지 음악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음악’을 뜻한다. 이 말은 1925년 이후 작품 …
|
1379 |
작은 화성적 미로(和聲的 迷路), BWV591(도. Kleines harmonisches Labyrinth)이 작품이 바흐의 작품인지는 확실치 않다. 하이니헨(J. D. Heinichen)의 것일 가능성도 제기된다(A. Werner-Jensen). 각 부분의 명칭에서도…
|
1378 |
작품(라. opus)"작품"이라는 용어가 최초에 쓰인 것은 15세기부터였다. 이 용어는 예를 들어 가포리(Fr. Gaffori)의 {음악분야의 이론 작품}(Theoricum opus musicum dichiplinae 1480)에서 볼 수 있듯이 한편으로 이론서를 위해…
|
1377 |
잔향(殘響, 영. reverberation)직접음과 반사된 음의 메아리의 혼합으로 소리가 연장된 듯한 느낌. 그런데 한 음 다음에 바로 다음 음이 바로 따라 나오면 앞 소리의 음향이 물리적으로는 그 공간 안에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귀는 이미 뒤의 음을 듣고 있기…
|
1376 |
잔향시간(殘響時間, 영.reverberation time)소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줄어든다. 그러나 이것은 시간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것이지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음향학에서는 소리가 발생하여 그 소리가 본래 에너지의 백만분의 일까지 감소하게 되면 이 소…
|
1375 |
잘루지슈벨러(도. Jalousieschweller)오르간 부속물의 일부. 움직이는 블라인드들을 전면에 가지고 있는 상자이다. 이 상자 안에는 한 건반의 레기스터에 속한 파이프들이 세워져 있어서 전면의 블라인드를 열고 닫는 것을 통해 크레센도와 디크레센도효과를 얻을 수 …
|
1374 |
장선(腸線, 영. catnut)현은 쇠로 만들어진 철선(鐵線)이나 동물의 내장으로 만들어진 장선(腸線)을 사용한다. 장선을 영어로 “catnut”이라고 부른다고 해서 고양이의 내장은 아니며, 대개 양의 내장을 사용한다. 현들이 고주파로 진동하는 장력을 잘 견디려면 그 …
|
1373 |
장수철(長壽哲, 본명: 長鳳疇, 1917년 평양-1966.11.8. 서울) 장수철은 초기 한국 기독교 가정에서 자랐다. 안악 공립 보통학교를 졸업했고, 감리교 선교사 문요한(John Z. Moore:1874-1963)이 세운 요한학교에 입학, 박재훈·구두회 등…
|
1372 |
저자: 장은언등록일자: 2006-12-20장은언: 독일 음악교육기관의 발달과정과 라이프찌히 콘세르바토리움의 음악교육사적 의미 &nbs…
|
1371 |
장조(영. major, 도. Dur), 단조(영. major, 도. Moll)조성 항목을 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