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음악장르
고취악(鼓吹樂)/취타(吹打)/대취타(大吹打)
4,523회
고취악(鼓吹樂)/취타(吹打)/대취타(大吹打)

고취(鼓吹)라는 용어는 고대 중국에서도 사용했다. 이는 한(漢)나라 초에 흥하였던 음악이었다. 고취의 주요 악기는 이름 그대로 북과 관악기이다. 처음에는 사냥을 나가면서 하던 음악이었으나 통치자들이 이를 군악(軍樂)으로 만들었다. 원래 민간에서 불리던 음악을 고취용으로 사용했기 때문에 어떤 음악이 본래적 고취음악이 이런 것이다라고 이해하기보다는 통치자의 행차나 군대의 행렬을 위해 행사를 위해 사용되면 그것이 바로 고취라고 불린 것이다. 고취는 -음악적으로 보아- <군악적인 편성>과, -용도 면에서 보아- 행렬 행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이런 성격은 한국음악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말을 타고 행진할 때에 이 음악을 썼기 때문에 "기취"(騎吹)라고도 불렸다. 군대의 행진, 장례의 의장행렬, 일반적 행렬의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연회의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이 때에는 여성이 연주에 참여하는 등 오락적 성격도 있었다. 
고취 음악은 중국에서 사용되었던 방식과 비슷하게 한국에서도 사용되었다. 고구려 벽화에서도 말을 타고 행진하면서 음악을 연주하는 그림을 확인할 수 있다(안악 3호 고분). 뿐만 아니라 이 음악이 삼국시대에 한국에서도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삼국사기). 고려시대에도 행렬음악으로 사용되었다(임금의 행차와 장수의 출정과 귀환 등). 조선 초기에 고취는 주로 임금의 행차에 사용되었다. 그런데 그 편성은 관악기와 타악기 이외에도 현악기까지를 포함했다(악학궤범). 그러나 조선조 후기에는 점점 음악적 규모가 작아진다.      
조선조의 고취는 임금의 행차 시에 악대에 의해 연주되는 음악과 궁궐에서 연주하는 음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종류의 고취 음악이 있었다. 
(1)전정(殿庭)고취: 매월 열리던 큰 회의('조참'朝參)와 과거시험과 관련된 행사가 있을 때에 궁의 안뜰에서 연주되었다.  
(2)전후(殿後)고취: 왕이 궁궐 후문을 출입할 때에 연주했다.  
(3)전부(前部)고취/(4)후부(後部)고취: 왕의 행차 시에 연주한다.  
(2)-(4)는 모두 임금의 출궁와 환궁 행차와 관련되어 있으며 임금 행차의 성격에 따라 편성이 각각 다르다.
고취악의 종류로 현재까지 내려오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취타"(吹打)라는 음악이 남아있다(삼죽금보). 그런데 이 용어는 오늘날 이 음악의 명칭이기도 하고, "고취"를 대신하는 말로도 사용된다. 
오늘날 남아있는 취타의 편성은 타악기로 징, 자바라, 장고, 용고와 거의 타악기처럼 불특정한 음높이만 내는 관악기로 소라와 나팔, 그리고 선율을 연주하는 유일한 관악기는 태평소(또는 날나리)로 되어 있다. 이런 악기들의 울림이 큰 소리를 내기 위한 것임이 실제 음악에서 드러난다. 
"대취"(일명: 만파정식지곡 萬波靜息之曲) 곡은 관현악곡으로 만들어져 연주되어 전해져 오는 것도 있다. 이 음악은 오늘날 흔히 12/8 박자로 표기되는데, 그 리듬적 구조는 겹박자로 되어 있어서 작은 박자는 4분음표+8분음표, 또는 8분음표 3개의 연속이 자주 보이며, 큰 박자는 점4분음표로 나타난다. 이는 한국 민요에서도 흔히 보는 박자의 모습이다. 하지만 큰 박자가 -주로 4박 두드러지는- 민요에서와는 다르게 "취타"의 큰 박자는 10박+8박+10박의 모습을 보인다. 
원래 취타 음악에 속하지 않지만 취타로 분류되는 음악이 있는데, 이는 길군악('절화'折花), 길타령(또는 우림령 雨林鈴), 별우조타령(別羽調打令, 또는 金殿樂)이다. 이 음악들은 "대취" 음악 이후에 연속적으로 연주되어 "군악"(軍樂)이란 이름의 곡으로 끝을 맺기 때문이다. 길타령,  별우조타령, 군악은 모두 영상회상 곡으로부터 나온 파생곡들이다.   
한편으로 "대취타"라 이름의 곡명도 있는데, "무령지곡"(武寧之曲)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홍정수

목록